|
|
|
 |
현위치 > 오복작명이론 > 소리오행 |
|
|
|
1.발음이 좋고 쉬워야 |
|
한국인의 이름은 보통 성을 포함해서 3글자로 구성되는데, 발음 상 다음의 조건이 요구된다. 부르기 쉬워야 한다. 듣기에 좋아야 한다. 발음이 자연스럽고 품위가 있어야 한다. 세련미가 풍기고 쉽게 기억해야 한다. 사람마다의 독특한 개성이 발음에 담겨야 한다. 이를 위해 한글식 이름을 구성하는 세 글자의 오행을 판단해 그 관계가 서로 상생이 되도록 해야 발음이 좋고 쉬운 이름이 된다.
|
|
2.한글 자음의 오행 |
|
|
|
3.소리 오행과 악기 |
|
|
|
4.소리 오행이 길한 조합 |
|
|
|
5.소리 오행의 사례연구 |
|
1)김 연 아: 김-ㄱ-木, 연-ㅇ-土, 아-ㅇ-土 →(木土土)
김연의 관계는 목극토라서 상극이고, 연아의 관계는 토가 비화라 보통이다.
2)이 건 희: 이-ㅇ-土, 건-ㄱ-木, 희-ㅎ-土 →(土木土)
이건의 관계는 목극토라서 상극이고, 건희의 관계는 목극토라서 상극이다.
3)박 지 성: 박-ㅂ-水, 지-ㅈ-金, 성-ㅅ-金 →(水金金)
박지의 관계는 금생수라서 상생이고, 지성의 관계는 금이 비화라서 보통이다.
|
|
6.초성과 종성의 소리 오행 |
|
김상우란 이름의 소리 오행을 판단하면, 우선 초성만을 기준해보면 ㄱ(木), ㅅ(金), ㅇ(土)로서 木金土이다. 金剋木이 상극이고, 金生土는 상생이다. 그런데 초성과 종성을 함께 적용하면 木과 金 기운데 ㅁ(水)가 있어 金生水가 되어 흉함이 줄어든다. 이것을 土生金, 金生水, 水生木이라 판단해 길한 배합으로 볼 수 있다.
|
|
|